하정우 네이버 AI 소장 “한국형 챗GPT 개발하는 이유는요”
관리자 │ 2023-05-10 HIT 2720 |
---|
오픈AI, 한국에만 4.5배 비싸게 챗GPT 제공 "초거대 AI는 특정 기술이 아닌 인프라 측면에서 봐야 합니다. 생태계 파급력을 고려했을 때 자국어 중심, 한국어 중심의 초거대 AI 기술 생태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하정우 네이버 AI 연구소장이 9일 대한상공회의소와 테크앤트레이드포럼이 공동주최한 ‘생성형AI’ 관련 세미나에서 네이버가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개발에 집중하는 이유를 밝혔다. 이날 세미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가져올 미래 변화와 우리 기업의 대응 방향’을 주제로 열렸다. 기업 대표로 참석한 하 소장은 네이버가 추구하는 생성형 AI 기술 개발의 방향성과 정부에 바라는 점을 중심으로 강연했다. 그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 상용화를 위한 글로벌 기업 기술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시장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 소장은 "MS(마이크로소프트)가 빙에 챗GPT를 적용하면서 구글이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면서 "하지만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이제는 이용자들이 빙도 함께 쓸 수 있는 가능성이 추가되면서 구글 검색과 빙 검색 각각에 기대치가 달라지게 됐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또 챗GPT 등 생성형AI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활용 범위가 넓어지면서도 기술 공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현실에 대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하 소장은 "챗GPT-4가 공개됐지만 기술공개는 안됐다"면서 "경쟁이 치열한데다 AI 윤리 등 문제로 외부에 있는 사람들을 믿기 어렵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 소장은 오픈AI의 가격정책도 문제로 삼았다. 현재 오픈AI는 영어와 비교해 한국어 서비스에 보다 비싼 비용을 책정하고 있다. 그는 "한국어 같은 경우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하고도 4.5배 비용을 더 내야한다"면서 "생태계·데이터 주권·서비스 품질 관점에서 한국어 중심 AI를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 소장은 생성형 AI와 초거대 AI의 상용화에 있어 중요한 것은 협력이라고 강조했다. 기업간 협력과 함께 정부의 협조도 수반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네이버는 독거 어르신 대상으로 ‘클로바 케어콜’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현재 케어콜을 전국 50여곳 지자체 및 의료복지기관에 제공 중이다. 올해 이용자수는 1만명을 돌파했다. 여기에 네이버는 올여름 중 한국어에 특화된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출시할 예정이다. 그는 "초거대 AI 생태계 파급력을 고려한다면 AI 관련 생태계 안에 스타트업, 학교, 정부 등 많은 플레이어가 필요하다"면서 "정부 차원에서는 세제 혜택을 주거나 관련해 적극적인 투자가 지원돼야 하고 이용자가 비용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환경도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
이전글 | “챗GPT 기술 구현, 적극적 방어도 함께 고민해야” |
---|---|
다음글 | “美 반도체 수출통제 동참하면서 중국 시장도 지켜야” |